메뉴 건너뛰기

목회칼럼

미친존재감 - 삶공부



 


우리가 꼭 필요한 존재, 없으면 안 되는 사람에게 쓰는 표현이 “미친 존재감”입니다. 마찬가지로 신앙생활에서 있어서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저는 성경공부(삶공부)를 <미친존재감>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가정교회에는 세 개의 축이 있습니다. 목장과 예배와 삶공부입니다. 이 세가지 축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신앙생활이 가능합니다. 목장의 나눔을 통해서 우리는 정서적인 채움을 받습니다.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의지적으로 믿음의 결단을 하게 됩니다. 삶 공부를 통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의 변화 받습니다.


생각이 변해야 삶이 변하기 때문에 삶공부는 변화된 삶을 살기 위한 뼈대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뼈대가 있어야 그 위에 살을 붙여도 형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신앙생활 역시 말씀공부가 기초가 되어야 든든히 세워집니다. 이처럼 말씀공부는 신앙의 뼈대(기초)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힘써야 하는 필수 사항입니다.


 


삶공부에는 다섯 가지 필수과정이 있습니다. <생명의삶> - <새로운삶> - <경건의삶> - <확신의삶> -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입니다. <생명의 삶>은 우리의 신앙생활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삶>은 그 지식을 바탕으로 성경적가치관과 교회관을 정립하게 해서 그리스도인다운 새로운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경건의 삶>은 실제로 우리의 삶 가운데 경건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확신의 삶>은 목자와 목원을 말씀 안에서 하나로 묶어 줍니다.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자는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진정한 영적 리더가 될 수 있고 목원은 목자를 목장의 영적리더로 인정하게 됩니다.


 


제가 <확신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는 목자중심의 가정교회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목자가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목자보다는 담임목사를 찾는 이유는 목자와 목원 간의 말씀 안에서의 영적인 교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사같은 목자, 개척교회 같은 목장이 많이 새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저에게 있습니다.


시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확신의 삶>에 도전해 보는 목자, 목녀님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목 날짜
다운공동체교회 미니연수(2박 3일) 안내 2024.03.26
목회칼럼은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단 댓글은 실명(로그인)으로만 쓸수 있습니다. 2020.06.19
권사, 안수집사 택함을 앞두고   2007.03.18
귀가 엷은 크리스천   2005.10.21
귀국일정 보고합니다^^; (32)   2012.02.03
귀여운 협박(?) (5)   2009.06.12
귀한 아이디어 감사드립니다!   2007.10.06
그림(통계)으로 보는 우리 자녀들의 신앙교육의 현실과 당부   2023.11.30
그림으로 보는 오월의 주요사역   2024.04.25
근심하지 않고 주님을 따른 보배로운 청년 이야기   2023.05.11
글을 쓴다는 것조차 미안합니다   2014.04.25
금식과 기도로 울타리를 칠 때입니다.   2024.05.30
금식도 결국 우리를 위한 배려였습니다.   2013.03.23
금요일을 지워주십시오! (1)   2007.03.11
기도 제목 카드를 우편함에 돌려드립니다.   2024.01.11
기도+섬김+쉼=2010년 가장 멋진 여름!   2010.07.02
기도방식에 대한 제안   2007.04.14
기도의 지경을 넓혀 보세요. (2)   2011.07.28
기독교는 위기의 종교인가?   2018.06.08
기분 좋은 끝내기(최영기목사) (3)   2011.06.03
기분 좋은 소식(이종관목사)   2017.05.26
기적을 한번 만들어 봅시다(목회서신 11)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