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목회칼럼

미친존재감 - 삶공부



 


우리가 꼭 필요한 존재, 없으면 안 되는 사람에게 쓰는 표현이 “미친 존재감”입니다. 마찬가지로 신앙생활에서 있어서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저는 성경공부(삶공부)를 <미친존재감>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가정교회에는 세 개의 축이 있습니다. 목장과 예배와 삶공부입니다. 이 세가지 축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신앙생활이 가능합니다. 목장의 나눔을 통해서 우리는 정서적인 채움을 받습니다.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의지적으로 믿음의 결단을 하게 됩니다. 삶 공부를 통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의 변화 받습니다.


생각이 변해야 삶이 변하기 때문에 삶공부는 변화된 삶을 살기 위한 뼈대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뼈대가 있어야 그 위에 살을 붙여도 형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신앙생활 역시 말씀공부가 기초가 되어야 든든히 세워집니다. 이처럼 말씀공부는 신앙의 뼈대(기초)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힘써야 하는 필수 사항입니다.


 


삶공부에는 다섯 가지 필수과정이 있습니다. <생명의삶> - <새로운삶> - <경건의삶> - <확신의삶> -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입니다. <생명의 삶>은 우리의 신앙생활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삶>은 그 지식을 바탕으로 성경적가치관과 교회관을 정립하게 해서 그리스도인다운 새로운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경건의 삶>은 실제로 우리의 삶 가운데 경건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확신의 삶>은 목자와 목원을 말씀 안에서 하나로 묶어 줍니다.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자는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진정한 영적 리더가 될 수 있고 목원은 목자를 목장의 영적리더로 인정하게 됩니다.


 


제가 <확신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는 목자중심의 가정교회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목자가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목자보다는 담임목사를 찾는 이유는 목자와 목원 간의 말씀 안에서의 영적인 교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사같은 목자, 개척교회 같은 목장이 많이 새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저에게 있습니다.


시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확신의 삶>에 도전해 보는 목자, 목녀님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목 날짜
다운공동체교회 미니연수(2박 3일) 안내 2024.03.26
목회칼럼은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단 댓글은 실명(로그인)으로만 쓸수 있습니다. 2020.06.19
쉴 때 쉬고, 힘쓸 때 제대로 한번 씁시다!   2010.09.25
술과 금욕   2019.04.06
순종이냐 굴종이냐   2015.05.15
순종이 힘들어도 순종할 때 자람을 배웁니다.   2013.09.27
수요 일터의 삶(기독교 세계관) 오픈 강의에 초대합니다.   2021.10.09
소위 “연말정산”, 교회헌금에 대한 소득공제에 대하여!   2010.01.22
소소한 추석 일상과 다짐 한 가지   2018.09.28
소비자적인 크리스천 & 섬기는 크리스천   2022.06.16
소모임 중심의 새벽기도운동을 권면합니다.   2018.07.07
세상을 축복하는 우리교회(2): 국군장병들을 섬김시다.   2011.04.08
세상을 축복하는 우리교회(1): ‘궁거랑 한마당’을 섬깁시다. (1)   2011.04.01
세상 속에 말구유를 만들어 보는 성탄   2023.12.14
세미나는 이제 잊어버려야 합니다.   2013.10.05
세례식, 성찬식, 성령체험시간 (1)   2009.11.07
세례 숫자를 묻는 이유   2016.10.28
세대통합예배 및 마을교회에 대한 고민과 설득을 시작하며(목회서신13)   2019.04.12
세대통합(모리아산)예배와 싱글찬양예배   2021.03.06
세대에서 세대로: 모리아산 가족예배의 중요성   2014.01.24
세겹줄 기도회가 뭔가요?   2011.12.29
세겹줄 금식기도회에 관한 모든 진실   201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