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목회칼럼

미친존재감 - 삶공부



 


우리가 꼭 필요한 존재, 없으면 안 되는 사람에게 쓰는 표현이 “미친 존재감”입니다. 마찬가지로 신앙생활에서 있어서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저는 성경공부(삶공부)를 <미친존재감>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가정교회에는 세 개의 축이 있습니다. 목장과 예배와 삶공부입니다. 이 세가지 축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신앙생활이 가능합니다. 목장의 나눔을 통해서 우리는 정서적인 채움을 받습니다.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의지적으로 믿음의 결단을 하게 됩니다. 삶 공부를 통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의 변화 받습니다.


생각이 변해야 삶이 변하기 때문에 삶공부는 변화된 삶을 살기 위한 뼈대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뼈대가 있어야 그 위에 살을 붙여도 형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신앙생활 역시 말씀공부가 기초가 되어야 든든히 세워집니다. 이처럼 말씀공부는 신앙의 뼈대(기초)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힘써야 하는 필수 사항입니다.


 


삶공부에는 다섯 가지 필수과정이 있습니다. <생명의삶> - <새로운삶> - <경건의삶> - <확신의삶> - <하나님을 경험하는 삶>입니다. <생명의 삶>은 우리의 신앙생활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삶>은 그 지식을 바탕으로 성경적가치관과 교회관을 정립하게 해서 그리스도인다운 새로운 삶을 살도록 돕습니다. <경건의 삶>은 실제로 우리의 삶 가운데 경건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확신의 삶>은 목자와 목원을 말씀 안에서 하나로 묶어 줍니다.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자는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진정한 영적 리더가 될 수 있고 목원은 목자를 목장의 영적리더로 인정하게 됩니다.


 


제가 <확신의 삶>을 강조하는 이유는 목자중심의 가정교회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목자가 목원에게 영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목자보다는 담임목사를 찾는 이유는 목자와 목원 간의 말씀 안에서의 영적인 교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확신의 삶>을 통해서 목사같은 목자, 개척교회 같은 목장이 많이 새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저에게 있습니다.


시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확신의 삶>에 도전해 보는 목자, 목녀님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목 날짜
다운공동체교회 미니연수(2박 3일) 안내 2024.03.26
목회칼럼은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단 댓글은 실명(로그인)으로만 쓸수 있습니다. 2020.06.19
목회서신 8 “예배당 기초 설계”에 대한 공동체의 의견을 묻습니다.   2017.02.04
명절을 앞두고 감사와 사랑을 전하고 싶습니다. (1)   2017.01.27
2017년 공동의회 안내   2017.01.21
복음의 동역자된 목자(녀.부)님들께(20170115)   2017.01.14
첫 인사 드립니다.   2017.01.07
신앙은 갇혀있는 틀을 깨고 나오는 것   2016.12.17
천국을 소망하며   2016.12.10
2016년 선교주일에 부탁드리는 2가지   2016.12.02
교역자들이 교육목자를 찾아 나섭니다.   2016.11.25
지금은 의지적으로라도 한 걸음만 더!   2016.11.18
이상한 목장을 정상적인 목장으로 세웁니다.   2016.11.11
다운공동체 추수감사절 역사   2016.11.05
세례 숫자를 묻는 이유   2016.10.28
전도가 아니고 섬김입니다.   2016.10.22
보는 것처럼 쉬운 거 아닙니다.   2016.10.15
‘세미나 끝나자 말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2016.10.07
평신도세미나 7번, 목회자 세미나 4번!   2016.09.22
불편한 설교와 글 속에서 하나님과 저를 봅니다.   2016.09.17
김영란법과 우리 공동체의 선물 문화 (박종국 목사)   2016.09.10
건축이야기 4: 이삭줍기헌금 1차 마감 및 향후 일정   2016.09.02